Flag Counter

전문직 여자들의 결혼(팔자는 비위순?)

전문직 여자들의 결혼(팔자는 비위순?)
Photo by Sandrine Petit Gagnon / Unsplash

요즘 인터넷에서 떠도는 말이 있다.

바로 ‘팔자는 비위순’이라는 말임.

일정 수준 사실이라고 생각한다.

전문직 여자들의 결혼을 예시로 들어보겠음.

동질혼을 꿈꾸는 전문직 여자

‘사회적 능력치가 나랑 비슷한 정도는 되어야 하는’ 여성들이 있다.

입 밖으로 꺼내지 않을 뿐이지 이 정도 희망사항은 꽤나 일반적이다.

이런 사람들은 객관적인 풀 내에서는 6각형인데

자기가 속한 풀에서는 능력치가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는 남자도 못 만난다.

자기보다 능력치가 낮은 남자에게는 도무지 매력을 못 느끼는 것이다.

이런 사람들은 주로 직업을 필터링해서 사람을 만난다.

‘나만큼은 되었으면 좋겠는’ 경향성은 여자들의 연봉과 직업을 가리지 않고 비슷한데,

전문직 여자들의 경우 본인들 직업이 좋다 보니 ‘나와 비슷한 능력치’의 기준이 몹시 빡빡하여 남들보다 속물처럼 보이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여자가

‘나는 남자가 안정적인 직업이었으면 좋겠어’와

‘나는 남자가 의사였으면 좋겠어.’을 보면

말하는 여자가 누구냐를 떠나서 일단 후자가 좀 그래보이는 느낌이 드는 것이다.

여하튼 직업으로 거른다고 해도 소개 주체가 결혼정보회사가 아닌 이상 자산적인 부분은 거의 고려하지 않고 만남을 시작하게 됨. 유복해서 보태주는 시댁도 있겠지만 시가 식구들이 남편 용돈 없으면 생활이 안되는 흙흙수저 개천용인 경우도 있을 수 있고. 늦으면 결혼 준비 단계에 와서야 이런 것들을 알게 된다.

때문에 직업을 보고 결혼해도 상당 부분이 미지수의 영역에 있다.

결혼으로 팔자를 바꾸는 전문직 여자

더 현실적인 경우는 직업보다 자산을 보는데, 사실 이게 패스트트랙이긴 함.

남의 집안이나 지갑 사정까지는 알기 어렵기 때문에 결혼정보회사로 가서 자산 필터링을 거는 사람도 있다.

이 정도로 현실적인 여자들이 ‘팔자는 비위순’이라는 말에 가장 적절한 여자들일텐데, 사실 실제로 보면 ‘너 참 비위가 끝내주게 좋구나’ 소리는 잘 안 나온다.

  1. 남자의 자산과 외모는 상관관계가 없다. 자산 필터링에서 살아남은 남자들이라고 해서 박색만 있는 것은 아님.
  1. 사람들 생각과 달리 전문직 여자가 진짜 팔자를 바꾸는 경우는

자산을 택하는 대신 나이, 외모를 크게 포기하는 경우보다는(그런 경우도 있기야 하겠지만)

‘직업 및 학벌’을 포기해야 하는 경우가 많음.

순진한 애들은 엥? 직업 및 학벌이 별로인데 자산이 많을 수가 있어?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아까도 말했지만 결혼적령기에 자산이 많으려면 본인 직업이 문제가 아니라 부모가 돈이 많아야 한다.

사업으로 성공한 부모가

돈과 노력을 때려박아도 자식이 공부에 재능이 전혀 없어 교육 농사를 망한 경우에

손주 세대에서 유전자 개량을 하고자 머리 좋은 며느리를 원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좀 있다.

아니면 부모는 공부를 좀 쳐서 자산을 일구었는데 자식은 능력치가 떨어지는 경우도 있음.

남자 본인도 학창시절 내내 공부하라고 닥달당하고 학력에 콤플렉스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학벌과 직업에 가장 높은 미련을 두는 사람은 그것을 강렬히 원했지만 갖추지 못한 사람이다.

전문직 여자와 지방대 남자의 매칭은 의외로 소개팅보다 선이나 결혼정보회사에서 이루어진다. 둘의 학력차/직업차는 당연하게 남자의 자산으로 메꿔진다.

’팔자는 비위순’을 위해 여자가 견뎌야 하는 것은 의외로 남자의 못생기고 흘러내리는 외모가 아니라

자신이 중시하며 살아온 학력, 직업이 별 볼일 없는 남자자산을 보고 그 남자를 선택한 자기 자신이다.

그리고 이 경우가 진짜 사는 곳이 바뀌는, 팔자를 바꾸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